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디지털 자산 안전 가이드: 이용자 보호·보안·규제 체크리스트 (정보 제공)

by 아벨주인장 2025. 8. 24.

※ 본 글은 일반적 정보 제공을 위한 콘텐츠이며, 투자 권유·법률·세무·회계 자문이 아닙니다. 디지털 자산은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실제 거래 전 관련 법령과 사업자 공지를 확인하세요.

업데이트: 2025-08-24


한 장 요약

  • 사업자 안전성: FIU(금융정보분석원) 신고 수리 여부(공식 목록) → ISMS·실명계정 등 요건 충족 확인. :contentReference[oaicite:0]{index=0}
  • 예치·보관: 2024-07-19 시행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 따라 이용자 예치금 은행 보관, 사업자 파산 시 은행이 직접 지급, 이용자 자산 80% 이상 콜드월렛 의무화. :contentReference[oaicite:1]{index=1}
  • 이전 규칙: 트래블 룰— VASP 간 100만 원 상당 이상 이전 시 송·수신인 정보 제공·보관 의무. :contentReference[oaicite:2]{index=2}
  • 사기 대응: 스미싱·피싱 의심 시 국번없이 118 또는 전자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(경찰 연계) 활용. :contentReference[oaicite:3]{index=3}

1) 안전한 사업자 고르기 (체크리스트)

  • [ ] FIU 신고 수리 사업자 여부(최신 현황 확인). :contentReference[oaicite:4]{index=4}
  • [ ] 실명확인 입출금 계정 보유, ISMS 인증 상태. :contentReference[oaicite:5]{index=5}
  • [ ] 이용자보호 공시: 예치금 은행 보관, 보험/준비금, 사고 공지 이력 투명성. :contentReference[oaicite:6]{index=6}

2) 예치금·자산 보관 규정 핵심

  • 예치금: 은행에 분리 보관, 사업자 파산 시 은행이 직접 이용자에게 지급. :contentReference[oaicite:7]{index=7}
  • 자산 보관: 이용자 가상자산의 80% 이상 콜드월렛 일일 유지(감독규정). 상시 준수·내부통제 필요. :contentReference[oaicite:8]{index=8}
  • 불공정거래 금지: 미공개정보 이용·시세조종 등 금지, 의심 시 금융감독원 신고. :contentReference[oaicite:9]{index=9}

3) 트래블 룰 이해하기

가상자산사업자(VASP) 간 100만 원 상당 이상 이전 시 송·수신인 정보 제공·보관이 의무입니다(AML 목적). 해외 입·출금도 사업자 정책에 따라 동일 기준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. :contentReference[oaicite:10]{index=10}


4) 계정·지갑 보안 루틴

  • 2단계 인증: SMS 대신 OTP/인증앱·보안키 사용, 백업 코드 오프라인 보관.
  • 지갑 분리: 거래용(핫)과 보관용(콜드/하드웨어) 분리. 대액은 콜드, 정기 점검.
  • 시드·백업: 시드 문구는 오프라인(금고/분산 보관). 클라우드·메신저 저장 금지.
  • 출금 테스트: 신규 지갑/거래소로 이전 전 소액 테스트대액 이전.

5) 사기·스미싱·피싱 대응

  • 의심 링크 금지: 문자/메신저/QR 링크로 앱 설치·인증 요구 시 즉시 차단.
  • 신고 채널: 국번없이 118(KISA) 상담·신고 / 전자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(경찰 연계). :contentReference[oaicite:11]{index=11}
  • 피해 즉시 조치: 거래중지 요청, 계정·지갑 잠금, 비밀번호·2FA 재발급, 장치 포맷 검토.

6) 리스크 매트릭스 (예시)

리스크징후예방/대응
사업자 리스크출금 지연·공지 불투명FIU 수리·예치은행·콜드비율 확인, 대체 사업자 준비 :contentReference[oaicite:12]{index=12}
지갑 보안알 수 없는 로그인보안키·OTP, IP 제한, 로그인 이력 모니터링
피싱/스미싱에어드랍·지원 가장118 상담, 링크 차단, 기기 격리 :contentReference[oaicite:13]{index=13}
규제 준수이전 실패/보류트래블 룰 요건 확인(신원·주소지 등) :contentReference[oaicite:14]{index=14}

7) 사고·분쟁 대응 경로

  • 불공정거래 의심: 금융감독원 가상자산 불공정거래·투자사기 신고센터 제보. :contentReference[oaicite:15]{index=15}
  • 피싱/스미싱: 118 상담·통합신고 후 수사기관 연계. :contentReference[oaicite:16]{index=16}
  • 사업자 공지: 출금 지연·장애 시 공식 안내·복구 계획 확인(예치·콜드 의무 준수 여부). :contentReference[oaicite:17]{index=17}

빠른 체크리스트

  • [ ] FIU 신고 수리 사업자 사용(최신 현황 확인) :contentReference[oaicite:18]{index=18}
  • [ ] 예치금 은행 보관·콜드 80%+ 공지 확인 :contentReference[oaicite:19]{index=19}
  • [ ] 2FA 보안키·OTP·백업코드 오프라인 보관
  • [ ] 대액 이전 전 소액 테스트 출금
  • [ ] 스미싱 의심 시 118 즉시 신고·상담 :contentReference[oaicite:20]{index=20}

FAQ

Q. 법 시행으로 내 자산이 ‘보험처럼’ 보장되나요?
A. 아닙니다. 예치금 분리·은행 보관·콜드 80% 등은 보호 강화를 위한 장치이지만, 시장·가격 변동이나 개인 보안 실수까지 보장하지는 않습니다. :contentReference[oaicite:21]{index=21}

Q. 100만 원 미만 이전은 트래블 룰이 전혀 적용되지 않나요?
A. 기준은 100만 원 상당 이상이지만, 사업자 내부 정책으로 추가 확인이나 제한을 둘 수 있습니다(특히 해외 이전). :contentReference[oaicite:22]{index=22}

Q. 어떤 거래소가 합법인지 어디서 확인하죠?
A. FIU의 가상자산사업자 신고 현황 공지에서 최신 목록을 확인하세요. :contentReference[oaicite:23]{index=23}


※ 근거/참고: 금융위원회(법·시행령·보도자료), 국가법령정보센터, 금융정보분석원(FIU), 한국인터넷진흥원(KISA) 공식 자료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