※ 본 글은 일반적 정보 제공을 위한 콘텐츠이며 금융·세무·법률 자문이 아닙니다. 개인 상황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니, 중요한 의사결정 전 관계기관·전문가와 상담하세요.
업데이트: 2025-08-23
핵심 한 줄
만 19~34세 청년이 매월 자유적립(최대 70만 원, 5년) 시 이자 비과세 + 소득구간별 정부기여금을 받는 정책형 계좌입니다. 2025년 1월 납입분부터 기여금 매칭 구간이 확대되어 월 70만 원 전액에 대해 매칭이 가능하며, 일부 구간은 추가 3% 매칭이 붙습니다. :contentReference[oaicite:0]{index=0}
가입 조건 요약
- 연령: 가입일 기준 만 19~34세(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 차감 가능). :contentReference[oaicite:1]{index=1}
- 개인소득: 직전 과세기간 총급여 7,500만 원 이하 및 종합소득금액 6,300만 원 이하. :contentReference[oaicite:2]{index=2}
- 가구소득: 가구원 수별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(해마다 고시 변경 가능). :contentReference[oaicite:3]{index=3}
- 금융소득 종합과세 이력: 가입일 직전 3개 과세기간 중 1회 이상 해당 시 제외. :contentReference[oaicite:4]{index=4}
납입·금리·혜택
- 납입: 매월 1천 원~70만 원 자유적립, 만기 5년(60개월). :contentReference[oaicite:5]{index=5}
- 금리: 3년 고정 + 2년 변동, 금리는 은행 자율 결정(은행연합회 공시 확인). :contentReference[oaicite:6]{index=6}
- 세제: 납입액·정부기여금에 대한 이자소득 비과세. :contentReference[oaicite:7]{index=7}
- 정부기여금(2025 확대): 소득구간별 기본 매칭에 더해 월 40/50/60만 원 초과~70만 원 구간에 3% 추가 매칭 적용(일부 상위 소득구간 제외). :contentReference[oaicite:8]{index=8}
- 신용가점·부분인출: 2년 이상 유지·800만 원 이상 납입 시 신용점수 5~10점 가점, 2년 이상 유지 시 원금의 40% 이내 부분인출(’25년 하반기) 도입 예정. :contentReference[oaicite:9]{index=9}
정부기여금 ‘월 70만 원 납입’ 기준 최대치
개인소득(총급여 기준) | 기본 매칭(예) | 확대 구간 추가(3%) | 월 최대 정부기여금 |
---|---|---|---|
≤ 2,400만 원 | 40만 원 구간 6% = 24,000원 | 40→70만 원 구간 3% = 9,000원 | 33,000원 |
≤ 3,600만 원 | 50만 원 구간 4.6% = 23,000원 | 50→70만 원 구간 3% = 6,000원 | 29,000원 |
≤ 4,800만 원 | 60만 원 구간 3.7% = 22,200원 | 60→70만 원 구간 3% = 3,000원 | 25,200원 |
≤ 6,000만 원 | 70만 원 구간 3% = 21,000원 | - | 21,000원 |
6,000만 원 초과 ~ 7,500만 원 이하 | 정부기여금 미지급(비과세 혜택만) | - |
※ 표는 2025.1 확대 기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약(실제 산정은 납입액·소득구간별로 비례 적용). :contentReference[oaicite:10]{index=10}
예시 시뮬레이션(가정: 연 4.5%·월 70만 원·60개월, 단순 월적립/복리)
- 소득 ≤ 2,400만 원 (월 기여금 33,000원 가정): 만기 약 4,921만 원(원금 4,398만 원 + 이자 약 523만 원). 동일 조건에서 기여금 미적용 대비 만기 약 222만 원 증가. :contentReference[oaicite:11]{index=11}
- 소득 ≤ 4,800만 원 (월 기여금 25,200원 가정): 만기 약 4,869만 원(원금 4,351만 원 + 이자 약 518만 원). 기여금 미적용 대비 만기 약 169만 원 증가. :contentReference[oaicite:12]{index=12}
※ 은행별 금리·우대조건, 납입 변동, 실제 월복리/일복리 계산에 따라 결과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. 금리는 각 은행 고시 기준 확인. :contentReference[oaicite:13]{index=13}
신청·심사·개설 흐름
- 신청: 매월 취급은행 앱에서 비대면 신청(국민·기업·농협·신한·우리·하나·경남·광주·대구·부산·전북 등). :contentReference[oaicite:14]{index=14}
- 심사: 약 2주간 나이·개인/가구소득 확인(행정정보 공동이용, 국세청/병무청 연계). :contentReference[oaicite:15]{index=15}
- 개설: 개설 가능 통보 후 익월 초 은행 앱에서 계좌 개설. :contentReference[oaicite:16]{index=16}
중도·부분인출·특별해지
- 부분인출: 2년 이상 유지 시 원금의 40% 이내 부분인출 서비스 도입(’25년 하반기). :contentReference[oaicite:17]{index=17}
- 3년 유지 후 중도해지: 법 개정으로 비과세 및 기여금의 일부(60%) 지원 가능(조건별 상이). :contentReference[oaicite:18]{index=18}
- 특별중도해지: 사망·해외이주·퇴직·폐업·천재지변·3개월 이상 치료·생애최초 주택구입/혼인/출산 등 요건 충족 시 비과세·기여금 혜택 인정(지점 방문·증빙 필요). :contentReference[oaicite:19]{index=19}
이런 분께 유리
- 최소 3년 이상 유지 가능하고, 월 납입을 꾸준히 이어갈 수 있는 경우
- 소득구간상 정부기여금 수혜가 발생하는 경우(≤ 6,000만 원)
- 일반 적금 대비 비과세 효과와 정책 지원을 함께 노리는 경우
주의할 점
- 허위로 신청하거나 요건 변동 사실을 신고하지 않는 경우 정부기여금 환수·제재부가금이 부과될 수 있음. :contentReference[oaicite:20]{index=20}
- 상위 소득구간(총급여 6,000만 원 초과~7,500만 원 이하)은 비과세만 적용되고 기여금은 미지급. :contentReference[oaicite:21]{index=21}
- 금리는 은행별로 다르며 원금·수익을 보장하지 않음(변동금리 구간 존재). :contentReference[oaicite:22]{index=22}
빠른 체크리스트
- [ ] 나이·개인소득·가구소득 요건 충족 여부
- [ ] 월 납입 가능액(최대 70만 원)과 3년 이상 유지 가능 여부
- [ ] 내 소득구간의 월 예상 정부기여금 확인
- [ ] 은행별 금리/우대조건·수수료 비교(은행연합회 공시)
- [ ] 중도·부분인출 규정·특별해지 사유 숙지
※ 공식 안내·세부 요건: 서민금융진흥원 청년도약계좌 안내, 금융위원회 보도자료/정부 정책뉴스를 반드시 확인하세요. :contentReference[oaicite:23]{index=23}